전강옥(b.1965)은 파리 판테온 소르본 대학 조형예술학과 박사를 졸업했다.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2018), 그림손갤러리(2010) 등에서 개인전을 했고 미국 Context Art Miami, LA 아트쇼, 싱가포르 AAF 등 국내 외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창작스튜디오, 양주시립 장흥 조각아틀리에 입주 작가로 활동했으며 2018년 서울 모던 아트쇼 메세나 대상전, 2017년 조각 페스타 아리랑 어워드에 선정된 바 있다.
전강옥은 중력을 주제로 작업한다. 작품은 중력과 형태의 관계를 고찰한 조각적 결과물로써 불안정한 균형, 불균형, 비상, 추락 등 중력의 가장 스펙터클한 효과들을 시각화한 것이다. 몇몇 작품들은 용접이나 접착, 나사와 같은 결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중력의 물리적 힘만을 이용하여 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플라톤은 자유를 추구하는 인간을 “날개 없는 새”라고 불렀다. <날아오르는 사람>은 중력의 힘과 일상의 무게를 잊어버리고 하늘 높이 비상하고자 하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지표면적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곳을 향하고자 하는 의지이자 나 자신 너머로 도약하려는 초월성 (Transcendence)의 표상화이기도 하다. 어떤 조건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끊임없이 비상하려는 몸동작의 순간을 철 속에 영원히 각인시켜 이상과 자유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을 표상화하고자 하였다. 작가는 서울연극창작센터의 ‘장소성’을 우리를 울고 웃게 하는 감동과 스토리의 추상적, 예술적 공간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장소가 갖는 특성에 어울리도록 이야기를 담은 조각을 전시하였다.
Jeon Kang-Ok (born in 1965) received his Ph.D from the Department of Plastic Arts at the Université Panthéon-Sorbonne in Paris. He held his private exhibitions at Daecheongho Museum of Cheongju Museum of Art (2018) and Gallery Grimson (2010), and participated in many group exhibitions at home and abroad, including those held at Context Art Miami, LA Art Show, and AAF, Singapore. He served as an artist-in-residence at the Goyang Creative Studio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Jangheung Sculpture Atelier at Yangju, and was selected for the Exhibition of Grand Prize Mecenat Winners of the Seoul Modern Art 2018 and the Arirang Award of the Seoul International Sculpture Festival 2017.
Jeon Kang-Ok works with the theme of gravity. His works are the sculptural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avity and form, visualizing the most spectacular effects of gravity, such as unstable balance, imbalance, flight, and fall. Some of his works do not use any joining techniques, such as welding, binding, or screwing, but only use the physical force of gravity to organize the forms.
Plato called humans who pursue freedom “wingless birds.” <Soaring person> expresses the free will of humans to fly high into the sky, forgetting the power of gravity and the weight of everyday life. It is also a symbol of the wil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ur earthly existence and reach for higher ground, and of the transcendence to leap beyond ourselves. The artist intended to symbolize the human nature of pursuing ideals and freedom by eternally engraving the moment of the body movement, constantly soaring without losing hope under any condition, on the iron. He understood the ‘sense of place’ of the Seoul Theater Creation Center in terms of an abstract, artistic space of emotions and stories that make us cry and laugh, and exhibited sculptures containing the storie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